안녕하세요.
기획의 모든 지식을 알려주는 기모지입니다.
저의 첫 게시물을 어떻게 작성해야 할지 고민을 많이 했는데요
처음 기획팀에 들어왔을 때, 경영학과를 전공했음에도 처음 듣는 단어들에 익숙하지 않아 회의 시간에 노트에 잔뜩 필기한 후 자리로 돌아와 부랴부랴 단어 검색하던 기억이 새록새록합니다. 분명 기획팀이지만 경영용어들에 생소하신 분들이 있으실 거라고 생각됩니다.
그래서! 오늘은 기획팀이라면 알아둬야 할 업무용어 30가지를 준비했습니다.
업무용어정리
1. 비즈니스 모델: 기업의 수입원과 비용 구조, 고객 관계 및 제공되는 제품과 서비스로 구성된 전반적인 사업 체계를 이야기합니다.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핵심 가치 제안, 고객 세분화, 판매 및 유통 채널, 고객 관계, 수익원, 핵심 자원, 핵심 활동 등을 분석해야 합니다. 유연하고 탄력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 기업이 유지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경영기획팀의 핵심 일임을 기억하세요.
2. 주요 성과지표(KPI): 기업의 목표를 달성하고 성공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주요 지표입니다. KPI는 SMART 원칙에 따라 명확하게 정의되어야 합니다(특정목적-측정 가능-동의가능-실현 가능-상황별 설정). 경영기획팀은 KPI를 설정할 때 성과를 추적하고 평가하기 쉽게 지표를 선택해야 합니다.
3. 핵심역량: 기업이 성공적으로 경쟁하기 위해 필요한 전략적 능력입니다. 경영기획팀은 자사의 핵심역량을 파악하고 역량 강화를 통해 지속적인 성공을 추구해야 합니다.
4. SWOT 분석: Strengths(강점), Weaknesses(약점), Opportunities(기회) 및 Threats(위협)의 첫 글자를 줄인 용어로, 조직의 내외부 환경을 분석해 현재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향후 전략을 수립하는 도구입니다.
5. 양적 평가와 질적 평가: 양적 평가는 숫자를 이용해 구체적이고 명료하게 결과를 평가하는 기법이며, 질적 평가는 과정과 결과의 질을 중심으로 평가하는 기법입니다. 경영 기획팀은 양적 평가와 질적 평가를 모두 사용하여 평가 결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6. 스테이크홀더 분석: 기업 활동에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는 모든 개인, 단체, 기관을 스테이크홀더라고 합니다. 경영기획팀은 기업 활동과 관련된 주요 이해관계자를 파악하고 그들의 이해관계를 반영한 전략을 수립해야 합니다.
7. 비전과 미션: 비전은 기업이나 조직이 추구하는 미래의 목표 상태이며, 미션은 그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수행해야 할 주요 사업입니다. 경영기획팀은 비전과 미션을 동시에 고려하여 경영 전략을 수립하며, 경영 활동을 통해 조직의 비전과 미션을 이룰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합니다.
8. 전략적 방향 설정: 기업의 경영 목표와 자원, 시장 환경, 경쟁요인 등을 고려해 장기적인 미래 방향을 결정하는 과정입니다. 경영기획팀은 전략적 방향 설정에 있어 분석, 목표 설정, 전략 선택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전체 전략을 수립해야 합니다.
9. M&A: 인수합병을 통한 기업 성장 전략입니다. 경영기획팀은 인수합병의 필요성을 검토하고 이를 통한 혜택을 분석하여 최상의 선택을 내릴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합니다.
10. B2B (Business-to-Business): 기업 대 기업 간의 상품이나 서비스 거래를 의미합니다. 주로 도매, 산업용 제품에 관련됩니다.
11. B2C (Business-to-Consumer): 기업 대 소비자 간의 상품이나 서비스 거래를 의미합니다. 일반 소비자에게 판매되는 제품을 다룹니다.
12. ROI (Return on Investment): 투자에 대한 이익을 측정하는 지표로서, 투자 대비 얻어진 수익과 비용을 고려하여 수익률을 계산합니다.
13. CRM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고객 관리, 또는 고객과의 관계를 유지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이나 기술입니다.
14. USP (Unique Selling Proposition): 제품이나 서비스의 독특한 특성이나 이점으로 고객의 주목을 받고 구분되게 만드는 것입니다.
15. MVP (Minimum Viable Product): 제품이 출시되기 전,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 제공되어 사용자 피드백을 얻는 초기 버전을 의미합니다.
16. UX (User Experience): 제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느끼는 전반적인 경험이나 만족도를 말합니다. 17. UI (User Interface): 제품이나 서비스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부분으로, 기능과 시각적 요소를 포함합니다.
18. CTA (Call to Action): 마케팅 활동에서 고객이 원하는 행동(구매, 가입 등)을 요청하는 메시지나 디자인 요소입니다.
19. SEO (Search Engine Optimization): 검색 엔진에서 웹사이트의 순위를 높이기 위한 최적화 작업을 의미합니다.
20. SEM (Search Engine Marketing): 검색 엔진을 통해 효과적인 온라인 마케팅을 수행하기 위한 광고 및 활동을 말합니다.
21. CTR (Click-Through Rate): 광고나 링크 클릭 횟수를 총 노출 횟수로 나눈 비율로 광고 성과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22. WOM (Word of Mouth): 소비자 간의 구전 홍보로, 경험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널리 전파하여 제품 인지도를 높이는 전략입니다.
23. PDCA (Plan, Do, Check, Act): 계획, 실행, 점검, 행동 순으로 이루어지는 효과적인 업무 및 품질 개선 방법입니다.
24. SMART (Specific, Measurable, Achievable, Relevant, Time-bound): 목표를 세울 때 따라야 하는 원칙으로 구체적, 측정 가능, 달성 가능, 관련성 있는 목표, 시간을 설정한 목표를 의미합니다.
25. CS (Customer Satisfaction): 고객 만족도를 의미하며, 제품이나 서비스의 품질과 만족도를 평가하고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26. O2O (Online to Offline): 온라인에서의 정보나 서비스가 오프라인에서 실제 활동으로 이어지는 전략을 말합니다.
27. POS (Point of Sale): 상품이 판매되는 지점 또는 시스템을 한마디로 말한 것입니다. 매출정보, 재고 관리 등에 사용됩니다.
28. BPR (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기업의 업무 프로세스를 아예 새롭게 설계해 개선하는 방법론입니다. 경영 혁신을 목표로 합니다.
29. SCM (Supply Chain Management): 제품 생산부터 판매까지 모든 공급과정을 관리하는 전략입니다. 효율성과 원가 절감이 주요 목표입니다.
30. FTE (Full-Time Equivalent): 전임직원과 동일한 업무 시간에 해당하는 정규직이 아닌 직원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인력 관리를 위해 사용됩니다.
간략하게나마 업무용어를 작성해 봤는데요. 업무 진행하시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이후에는 이 용어들이 어떤 프로젝트에 사용되는지에 대해 포스팅할 예정입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직장인으로 살아남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획의 기본이자 가장 큰 산, R&R 설정하기 (0) | 2023.06.22 |
---|